마음의 공간

인연의 오고 감으로 아쉬움 그리고...

아비채 2025. 5. 20. 09:24
반응형

 

아침 산책은 신선함과 에너지를 주는 루틴이 되었다.

감기로 몸이 힘들거나 아침부터 일정이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아침 산책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요즘처럼 날이 좋고 자연이 싱그러울 때는 더욱더 시너지를 주며 '이런 날 산책을 하지 않는다면... 그건...'

읊조리기도 한다.

인생 후반부에 접어든 시기라 이런 말도 한다.

'이런 좋은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게 몇 년이나 남았을까?' 그건 알 수가 없다.

떠날 날은 누구도 모르기에, 그래서 걸을 수 있을 때 부지런히 다니자는 말을 나누기도 한다.

 

산책하면서 들리는 카페가 있다. 때론 빵집에 들르기도 하지만,

거의 90프로는 친근한 카페에 가서 커피 한 잔을 앞에 놓고 잠시 멍 때리기를 한다.

 

자주 가는 카페가 3달 후에 문을 닫는다

.

 

 

그곳은 우리들의 아지트가 되었다.

오늘 아침은 드물게 근처 빵집에서 빵과 커피 한 잔을 마시고 나오는데 익숙한 카페에 현수막이 눈에 들어온다.

50% 할인이라는 문구가 먼저 들어왔고, 작은 글씨로 8월 31까지만 운영을 한다.

고별 할인을 하는 것 같다. 계약 기간의 만료로 문을 닫는다는 내용이었다.

 

 

카페에 걸린 현수막

 

 

이런 이런, 아쉬움이 밀려온다.

이미 커피를 마셨지만, 한 잔 더 마시기로 하고 들어가 익숙한 카페 매니저에게 확인해 본다. 맞단다.

늘 앉던 자리에 앉으며, 아쉬움을 나눈다.

'3개월 며칠 남았는데, 이제 부지런히 와야겠네.' 커피값도 50% 할인이니 가격 부담도 적다.

 

우리의 자리에 앉으며 '이제 우리 아지트가 없어졌으니, 이제 어디로 가야 하지? 바로 옆에 있는 카페로 가야 하나?'

3개월이나 남았는데 그 후를 생각하니 많이 아쉬워진다.

 

728x90

 

 

오늘 어쩌다 빵집에 갔다. 앉아 있는 시간은 10분 남짓 자리가 편하지 않았다.

그저 아침 요기를 하는 시간일 뿐, 다 먹고 나니

일어서야 할 것 같아서 바로 일어나 나오다 익숙한 카페에 들르게 된다.

 

장소의 힘을 느낀다. 커피와 디저트를 사고 먹고 마시는 것은 같은데, 마음의 편안함을 다르다.

그게 장소가 주는 힘인 것 같다.

비슷한 기능을 하는 곳인데도 편안함을 주며, 잠시라도 멍 때릴 수 있는 곳과

쉼과 여유를 주지 못하고 금방 일어서야 하는 곳의 차이를 느낀 아침이다.

 

늘 앉던 자리, 아쉬움에 사진으로 담아본다.

 

 

 

사람도 비슷한 것 같다.

편안함을 주는 사람은 다시 만나고 싶다.

 

그런 사람은 편견이 아직 없거나 적은, 순수한 아이이거나 아니면 진짜 어른이 된 사람일 것이다.

 

아쉬움도 많지만,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만남과 헤어짐으로 이어진 게 삶이라

아쉬움으로 남고, 그리움도 생기겠지만,

또 다른 장소가 우리들에게 올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그리움의 장을 넘기며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며

또 익숙해져가는 날들이 3개월 후쯤에....

 

728x90